산림자원 교과목소개를 제공합니다.
- 목재가공학 (WOOD PROCESSING) (3(3))
- 목재와 수분과의 관계, 목재건조, 그리고 목질패널제품의 성질들을 배우는 학문분야이다.
- 수목학 (DENDROLOGY) (3(3))
- 산림식물의 주가되는 관속식물인 수목을 다루는 분야로써 이들의 명명, 분류, 식별, 그리고 생태, 분포 및 이용에 관한 학문이다.
- 목재환경과학 (WOOD ENVIRONMENT SCIENCE) (3(3))
- 목재를 구성하는 셀룰로오스, 헤미셀룰로오스, 리그닌의 특성과 이용을 설명하고 지구온난화시대에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목재환경자원에 대해서 강의한다.
- 산림자원측정학 (FOREST RESOURCES MEASUREMENT) (3(3))
- 산림자원 경영의 기초 자료를 위하여 임목의 직경, 수고, 수령, 임목의 생장량을 측정하며, 벌채목과 입목 및 임분 재적의 측정, 수간석해를 통한 임목의 성장과정을 분석하며, 재적표 및 수확표의 준비와 항공사진 이용 등의 내용을 강의한다.
- 산림측량학 (FOREST SURVEYING) (3(3))
- 측량학의 기본이 되는 평판측량, 콤파스측량, 수준측량, 트랜싯측량, 트래버스측량 등의 방법과 이론적 배경, 임도의 노선설계 및 계획시공 등을 포함한 각종 구조물의 기본 시설계획과 이론에 대해 강의한다.
- 산림측량학실습 (FOREST SURVEYING PRACTICE) (1(2))
- 측량 기계기구의 사용방법을 습득하여 산림의 구획측량, 임도 노선측량 및 설계 등의 산림측량에 대해 실습한다.
- 수목학실습 (DENDROLOGY PRACTICE) (1(2))
- 우리나라 산림식물 중 특히 중요 수종을 채집하여 표본을 제작하여 명칭, 형태, 분류, 분포, 생태 및 이용에 관한 특성을 익히도록 한다.
- 목재식별학 (WOOD IDENTIFICATION) (3(3))
- 상업용 목재수종의 검색 및 식별, 그리고 식별을 위한 목재의 거시적과 미시적 구조의 특성과 같은 기본적인 성질 등을 강의한다.
- 산림자원경영학 (FOREST RESOURCES MANAGEMENT) (3(3))
- 우리나라 현실에 입각한, 그리고 기본적인 이론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 산림경영 전반을 고찰한다.주요내용은 : 임업의 경영요소, 경영의 기본원칙, 생장량, 벌기령, 윤벌기, 법정림, 임업경영의 조직, 수확조절, 사업계획의 준비 등이다.
- 산림환경보전공학 (CONSERVATION ENGINEERING OF FOREST ENVIRONMENT) (3(3))
- 측량 기계기구의 사용 방법을 현장에서 실습을 통하여 익히고, 실제로 산림의 구획측량, 임도 노선측량 및 설계 도면작성 등을 실습한다. (2010년-산림자원학과) 산림내에서 일어나는 각종 인위적 및 기상적 재해의 원인과 대책, 그 재해의 임업적 및 토목학적 복구 방법들에 대하여 강의한다.
- 농업교육론 (TEACHING METHODOLOGY OF AGRONOMY) (3(3))
- 농업교과교육의 역사적 배경, 교과교육의 목표, 중.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분석등 교과교육전반에 관하여 연구한다.
- 산림생태학 (FOREST ECOLOGY) (3(3))
- 산림생태계 내에서의 산림구조의 구조분석, 식생의 천이, 물질의 순환, 산림생산에 영향하는 기후적인, 토지적인 환경인자와의 관계, 또한 환경오염에 의한 산림생태계의 영향 등을 학습한다.
- 산림환경보전공학실습 (PRACTICE OF FOREST ENVIRONMENT CONSERVATION) (1(2))
- 사방공학의 이론을 기초로하여 산지의 물수지, 계류수질, 재해의 임업적 및 토목적인 복구방법, 유역관리 등에 대한 내용을 실습한다.
- 수목생리학 (TREE PHYSIOLOGY) (2(2))
- 수목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적인 환경인자와 이에 따른 수목의 생리적 변화에 대하여 학습하며, 수목의 생식생장 및 영양생장과 구조를 비롯하여 광합성, 호흡과 증산, 종자생리, 수분의 흡수 및 영양분의 조절, 무기염의 흡수, 생장조절물질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.